‘쿠키건강TV’는 케이블방송사로 국내외 케이블, 위성, IPTV 등을 통해 전국 2500만 가구에 유익한 건강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있다.
![]() |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경희의료원은 기존에 제작 및 보유하고 있는 양질의 건강정보 영상콘텐츠 약 4백여 편을 제공하며, 쿠키건강TV는 해당 콘텐츠를 방송에 편성·노출한다.
제공되는 주요 콘텐츠는 경희대병원, 경희대치과병원, 경희대한방병원, 후마니타스암병원, 총 4개 병원의 주요 건강 영상이다.
대표적으로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질환에 대한 기본지식’, ‘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질환상식’, ‘질환별 예방·치료·관리법’, ‘의료진을 통해 듣는 올바른 건강정보’, ‘치료 전/후 주의사항’, ‘암 관리·운동치료·생활가이드’, ‘암 스트레스 관리’, ‘암 환자를 위한 식생활 관리’, ‘코로나19 바로알기’ 등과 같은 영상이다.
정보성 영상 외에도, 경희의료원이 전시기획제작업체인 본다빈치와 협력해서 제작한 헤르만헤세 작품과 리틀다빈치 아이들 그림 기반의 ‘힐링 명화 영상’도 방송될 예정이다.
최석근 경희의료원 홍보실장은 “시청자들에게 유익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쿠키미디어와 업무협약을 통해 다양한 건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제대로 된 건강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늘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업무협약 기간은 2021년부터 3년간이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편성을 위한 판권 공급 개념으로는 국내 의료계 최초로 체결한 것이다.
happy1@segye.com
ⓒ 스포츠월드
함께 본 기사
-
억대 연봉 KBS, 국민 반발에도 수신료 2500원→3840원 인상 감행
KBS 이사회, 수신료 2500원→3840원 인상 산정 8년만의 재추진...방통위·여당도 호응 예상 중간광고까지 허용하면서…명분 상충 지적 KBS 사옥 전경. /조선DB KBS가 수신료 인상을 감행했다. 별다른 체질 개선 노력 없이 수신료도 올리고, 중간광고도 법적으로 허용 받으며 ‘일거양득’을 취하겠다는 것이다. 공영방송사로서
-
한겨레 기자들 폭로 "秋라인 자료로 이용구 봐주기 기사 썼다"
한겨레 기자들이 이용구 법무부 차관의 택시기사 폭행 사건과 관련해 “‘추미애 라인 검사’가 건넨 사실관계가 틀린 자료대로 '이용구 봐주기' 기사를 실었다”고 주장했다. 검찰 안팎에서는 해당 자료를 줬다는 ‘추미애 라인’ 검사로 이종근 대검 형사부장이 지목된다. 이용구 법무부 차관이 27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로 들어서고 있다.
-
"주호영이 성추행" 명예훼손 피소 여기자…당시 CCTV 영상 보니
[머니투데이 이동우 기자] /사진=유튜브 '서울의소리' 영상 캡처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자신에게 성추행 당했다고 주장하는 한 인터넷매체 기자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유정화 변호사는 지난 27일 "'서울의 소리' 또는 '뉴스프리존' 기자라고 주장하는 성명불상의 여성에 대해 정보통신망법상 허위사실 유포에
-
"한국만 왜 이래"…은행 이익공유 압박에 외국인 이탈
◆ 금융권 이익공유제 후폭풍 ◆ "주주를 관리하는 부서가 빗발치는 해외투자자 전화로 곤혹스러운 상황입니다. 유독 대한민국만 왜 그러냐는 질문이 많은데, 궁색한 답변밖에 할 수 없어서 너무 힘들다고 해요." 최근에 만난 금융권 고위 관계자의 분노 섞인 하소연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에서 금융회사 이익공유제를 본격적으
-
[안혜리의 시선] 조민의 신의 한 수
안혜리 논설위원 요즘 의사들의 최대 관심사는 법정에서 드러난 입시부정에도 불구하고 교육부의 묵인하에 의사국시에 통과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조민씨의 인턴 수련병원 선택이 아닐까 싶다. 빅5 병원 중 한 곳에 지원할 것이라는 추측이 잇따르자 지원부터 합격 여부 등을 제보받겠다는 ‘조민 수호단’까지 등장했다. 인턴은 전공과목별로
-
서울 최대 백화점 ‘더현대 서울’ 여의도서 2월 26일 오픈
사진=현대백화점그룹 제공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현대백화점이 서울 여의도에 신규 백화점 ‘더현대 서울(The Hyundai Seoul)’을 선보인다. 현대백화점이 2015년 판교점 이후 6년만에 여는 점포로, 영업 면적은 서울 시내 최대 규모다. 기존 ‘백화점의 틀’을 깬 파격적인 공간 디자인과 혁신적인 매장 구성 등을 앞세워